찬송가는 예배에 적합한 음악인가?

"찬송가는 예배에 적합한 음악인가?"라는 질문은 "한국 찬송가는 실패했다"는 한 목사님의 말씀에서부터 시작된 것이었다. 감정의 흐름이 없이 지루하게 반복되는 가사 때문에 젊은이들이 예배에 집중하는데 방해가 된다는 것이 그 중요한 요지였던 것으로 기억한다. (그러나 지금도 내가 섬기는 교회에서는 주일오전 예배 시간에 찬송가를 모두 네 번 부른다. 아마 젊은이들이 많은 교회에서는 주일오전예배에도 찬송가를 부르는 일이 별로 없을 것이다.) 찬송가가 예배에 적합한지 또는 성공하고 있는가를 물어보기 이전에 예배는 무엇인가에 대한 간단한 전제를 깔고 시작해야 할 것 같다. 내가 생각하는 예배는 '말씀을 낯설게 보기'를 목적으로 한다. 하나님의 말씀은 사람에게 선포될 때 본질적으로 낯설 수 밖에 없는 것이기 때문에, 예상 가능한 어떤 것이 선포되는 상황은 그 메시지가 변형되었거나 최소한 힘을 잃은 상황이라 정의할 수 있다. 이런 면에서 예배에서 함께 부르는 노래 역시 말씀을 낯설게 보게 하는데 도움이 되어야 예배에 도움이 된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보통 찬송가를 좋아하는 사람들은 그 찬송가를 통해 어떤 신앙의 경험을 가진 경우가 많이 있다. 오랫동안 불러오면서 그 노래가 가진 힘, 노래가 주는 정서, 노래가 주는 느낌에 익숙해지고 그 익숙함 때문에 편안함을 느끼는 것이 찬송가를 좋아하는 많은 사람들의 생각일 것이다. 나 역시 그러니까. 이 '익숙함'이라는 요소는 선포되는 말씀의 '낯설음'과 대비되면서 그것을 중화시켜주는 좋은 역할을 할 수도 있고, 말씀조차 '익숙함'으로 다가오게 만드는 역효과를 낼 수도 있다. 많은 경우에는 후자와 같이 '익숙함'에 기대려는 사람들의 기대를 충족시켜 주는 것으로 끝날 가능성이 높다고 본다. 따라서, 찬송가가 새로운 형식과 새로운 느낌으로 새롭게 재해석되어 곱씹어지지 않는 한 예배 시간에 사용되는 것은 그렇게 좋은 일이 아니라고 생각한다. (물론 감정의 흐름에 직접적으로 호소하는 모던 워십곡과 직접적으로 비교하는 것은 아니다. 찬송가와 모던 워십 곡 중 어느 것이 더 좋은지에 대한 판단은 아주 구체적인 상황 속에서만 가능한 것이기 때문이다) 이렇게 찬송가를 새로운 느낌으로 재해석하는 일은 주로 성가대나 찬양팀에 의해 이루어질 수 밖에 없고, 어떤 면에서 보면 단순한 네 단짜리 노래를 끊임없이 새롭게 해석한다는 것은 새로운 노래를 만들어 부르는 것에 비해 더 어려운 일일 수 밖에 없다. 내가 찬송가 편곡 음반을 좋아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많은물소리' 찬양집에 보면 '함께 부를 노래가 있었으면 해요'라는 노래가 있다. 이게 바로 지금 시대의 음악가들이 해야 할 일이다. 이런 노래를 만들어 내는 것. 그리고 '새 노래로 여호와를 찬양하라'는 시편의 선언에서 말하는 바와 같이 우리는 항상 새 노래를 불러야 한다. 노래 자체가 새 것이든, 노래를 대하는 태도가 새 것이든, 노래의 느낌이 새 것이든 상관없이 어쨌든 새 노래로 찬양을 해야 한다. 아무리 사람의 마음을 움직이고 감동을 준다고 해도 그 노래가 어제의 은혜, 어제의 느낌, 어제의 감동을 그대로 답습한 것이라면 정말 좋은 찬양은 아닐 것이다. 왜냐하면 찬양은 하나님께 드려지는 것이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