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인과 폭력

성폭력에 대한 팟캐스트를 들었다. 꼭 이 내용 때문은 아니지만, 이 팟캐스트를 들으면서 폭력에 대한 생각을 한 번 정리해 볼 수 있었다. 성폭력이 큰 문제가 되는 일이기는 하지만, 그것은 보다는 폭력에 좀더 초점을 맞추어야만 제대로 접근할 수 있는 일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하게 된다.

사회적 의미의 폭력이라는 것은 강자가 약자를, 그리고 다수가 소수를 어떻게 다루는가의 문제라고 할 수 있다. 나는 이 문제에 대해 깊이있는 글을 쓸만큼의 역량을 갖추지는 못했고, 다만 기독교인으로서 성경에서 이 문제를 어떻게 다루는가를 살펴봄으로서 폭력 문제에 대한 기독교인의 자세에 대한 성찰을 해 보고자 한다. 성경(혹은 이와 같은 내용을 담고 있는 다른 책들)이 다양한 해석의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다는 점, 그리고 (언뜻 보기에) 상호 모순적인 내용이 많이 있다는 점을 감안하여, 지엽적인 해석보다는 전반적인 기본 정신에 대해 생각해 보는 것이 맞다고 생각한다.

우선, 구약에서 이스라엘 공동체의 율법에 나타난 특징들을 볼 필요가 있겠다. 출애굽기 22장 21~13절에는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너는 이방 나그네를 압제하지 말며 그들을 학대하지 말라 너희도 애굽 땅에서 나그네였음이라 너는 과부나 고아를 해롭게 하지 말라 네가 만일 그들을 해롭게 하므로 그들이 내게 부르짖으면 내가 반드시 그 부르짖음을 들으리라

이 글에서 이방 나그네, 과부, 고아는 모두 사회적 약자를 표현하고 있는 말로서, 사회적 약자들을 보호하는 것이 공동체의 임무임을 분명하게 선언하고 있으며, 신명기 14장, 16장, 24장, 27장 등에서도 동일하게 반복되고 있다. 이 때 이 선언들의 이유로 너희도 이집트에서 나그네였다라는 말이 제시되고 있다. 즉, 누구나 약자일 수 있기 때문에 자신이 강자의 위치에 있을 때 약자들을 보호해야 한다는 말이다. 이스라엘이 이집트에서 노예생활을 했던 경험은 그들에게 있어 전 공동체가 영원히 잊지 말아야 하는 기억이었으며, 그 기억을 되살림으로서 자신의 공동체 안에 그런 억압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지 되돌아봐야 했던 것이다.

이스라엘 공동체의 타락을 경고했던 선지자들에게서도 이러한 의식은 선명하게 드러난다. 이스라엘의 제사를 기뻐하지 않으시는 하나님을 선포했던 이사야는 이런 점을 너무나 명확하게 말하고 있다.

너희는 스스로 씻으며 스스로 깨끗하게 하여 내 목전에서 너희 악한 행실을 버리며 행악을 그치고 선행을 배우며 정의를 구하며 학대 받는 자를 도와 주며 고아를 위하여 신원하며 과부를 위하여 변호하라 하셨느니라 (이사야 1:16-17)

예레미야 22장 3절 (여호와께서 이와 같이 말씀하시되 너희가 정의와 공의를 행하여 탈취 당한 자를 압박하는 자의 손에서 건지고 이방인과 고아와 과부를 압제하거나 학대하지 말며 이 곳에서 무죄한 피를 흘리지 말라), 그리고 말라기 3장 5절 (내가 심판하러 너희에게 임할 것이라 점치는 자에게와 간음하는 자에게와 거짓 맹세하는 자에게와 품꾼의 삯에 대하여 억울하게 하며 과부와 고아를 압제하며 나그네를 억울하게 하며 나를 경외하지 아니하는 자들에게 속히 증언하리라 만군의 여호와가 말하였느니라)에 이르기까지 이런 논리는 분명하게 드러난다. 과부와 고아를 압제하는 일, 나그네를 억울하게 하는 일, 사람을 학대하는 일, 노동자의 임금을 속이거나 억울하게 하는 일은 모두 하나님이 분명하게 심판하시는 범죄 행위이다. 이런 행위들 때문에 하나님이 이스라엘의 기도를 듣지 않으신다는 것이다.

신약 시대에 이르러 예수님의 여러 가지 이야기들을 보면 이런 생각을 더욱 분명히 읽을 수 있다. 그는 세리나 창기같은 죄인들의 친구를 자처했으며, 간음하다 잡힌 여인을 변호하였다. 그는 많은 병자들을 치료해 주었는데, 정황상 그가 고친 많은 병자들은 사회적으로 억압받거나 배척받는 사람들이었다. 그는 사회적으로 전혀 대접을 받고 있지 못하던 어린이들을 받아주는 사람이었다. 헐벗고 굶주린 자에게 먹을 것과 입을 것을 준 것이 바로 내게 한 것이라고 말씀하신 분이다.

그러나 다른 어떤 이야기보다도 예수님의 생각을 명확하게 드러낸 이야기는 바로 선한 사마리안인의 비유라고 생각한다. 사마리아인은 유태인들에게는 상종할 수 없는 더러운 족속으로 대우받던 사람들이었다. 선한 사마리아인을 레위인, 제사장 등과 비교한 것은 분명 의도적인 것이었으며, 좋은 이웃에 대한 통념을 가장 극적으로 깨버린 이야기였다. 지금 시대의 언어로 이야기한다면, 보수 기독교인들이 가장 터부시하는 사람들, 예를 들어 성적 소수자인 동성애자를 동일한 위치에 넣는다면 어느 정도 이해가 되지 않을까 한다. 보수 기독교인들이 목사보다 동성애자가 더 좋은 이웃이다라는 선언을 기쁘게 받아들일 수 있을까?

결국 성경을 관통하고 있는 생각은 하나님은 약자를 편애하시는 분이다라는 것이다. 강자가 약자를, 다수가 소수를 억누르는 것은 하나님이 가장 싫어하시는 일이다. 민주주의의 기본 원리라며 전가의 보도처럼 사용되는 다수결의 원칙 조차도 다수가 소수를 억누르는 합법적인 도구로 사용될 때는 무서운 폭력이 될 수 있다. 부자와 가난한 사람 사이에 다툼이 있다면 분명 하나님은 가난한 사람의 편이 되실 것이다.

지금의 대한민국 사회를 보면, 보수 기독교인의 (전폭적인) 지지를 받는 대통령이 집권한 이후로, 힘의 논리가 더욱 횡행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수에 의해 선택되었다는 것이 소수를 억누를 수 있는 권한을 받은 것이 아님을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는 뜻이다. 이렇게 사회적으로 힘의 논리가 통용되고 있는 것을 보고 자라난 청소년들이 강한 폭력성을 드러내는 것을 어떻게 비난할 수 있을 것인가.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모든 면에서 힘의 논리가 통하고 있는 대한민국 사회, 특히 그 속에서 약자의 친구가 아닌 강자의 친구로 살아가고 있는 기독교인들이 너희가 많이 기도할지라도 내가 듣지 아니하리니 이는 너희의 손에 피가 가득함이라라는 준엄한 심판의 소리를 피할 수 있겠는가? 지금은 수많은 폭력 앞에서 무감각하게 살아가고 있는, 아니 가해자의 편에서 웃고 있는 사람이 언제 그 폭력의 희생자가 되어 피눈물을 흘리게 될지 예측할 수 있겠는가? 정의의 부르짖음에 응답하지 않으면서 스스로를 기독교인이라고 정의할 수 있겠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