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cheist의 nanoBundle, 그 경제적 의미
Macheist는 재미있는 미션을 풀고 덤으로 소프트웨어 번들까지 살 수 있는 것으로 유명한 맥 관련 커뮤니티이다. 이미 세 번의 번들 판매 행사를 했는데, 나는 그 중에서 최근 두 번의 번들을 모두 구입한 바 있다. (두번째 번들 구입, 첫번째 번들 행사 때는 맥을 사용하지 않는 상황이었다) 며칠 전에 Macheist에서 뭔가 새로운 행사를 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고, 간단하게 DaisyDisk라는 프로그램의 라이센스를 공짜로 얻었다. 이 프로그램의 라이센스를 받을 수 있는 기간이 끝나고 나자, 이번에는 nanoBundle이라는 이름의 새로운 번들 프로그램이 발표되었다. 이 행사를 간단히 말하자면, 모두 여섯개의 맥용 소프트웨어 라이센스를 공짜로 준다는 것이다. 이 번들에 포함되어 있는 프로그램들은 ShoveBox, WriteRoom, Twitterific, TinyGrab, Hordes of Orcs, 그리고 Mariner Write이다. 이 중에서 ShoveBox는 이미 라이센스를 가지고 있고, Twitterific은 고맙기는 하지만 이미 Tweetie 무료 버전을 잘 사용하고 있는 터라 별로 필요는 없을 것 같고, Hordes of Orcs는 내가 게임을 그다지 좋아하지 않는 터라 한 두 번 해 보고는 실행할 일이 별로 없을 것 같다. WriteRoom은 갖고 싶었던 소프트웨어라 앞으로 자주 사용하게 될거라고 생각되며, TinyGrab과 Mariner Write은 사용을 좀 해 보고 지금 사용하고 있는 동일 목적의 소프트웨어들, 이를테면 스크린샷 프로그램인 LittleSnapper나 워드프로세싱 프로그램인 Apple Pages, Mellel같은 것들을 대치할 수 있을지 시험을 해 봐야 할 것 같다. 맥용 소프트웨어 개발 업계가 어떤 상황에 있는지 나로서는 알 수 없고, 공짜로 주는 것은 그냥 고맙게 받을 뿐이지만, 공짜 점심은 없다는 말이 있듯이, 공짜인 것처럼 보이는 것도 사실은 공짜인게 없는 법이기 때문에 이런 행사의 뒤에 어떤 논리가 숨어있을지 곰곰히 생각을 해 봐야 할 것 같다. Mariner Write의 경우 모두 500,000 다운로드를 돌파하는 경우에만 라이센스를 준다고 되어 있는데, 그렇다면 최소한 500,000개 이상의 라이센스를 공짜로 뿌리는 것이나 마찬가지이다. 소프트웨어 업체의 입장에서 이런 엄청난 양의 공짜 라이센스를 준다는 것은 어떤 의미일까? 우선, 그들로서는 고객 지원에 드는 비용과 시간이 크게 늘어나는 것을 감수해야 한다는 면이 있다. 공짜로 준다고는 하지만 Full License인만큼 고객 지원은 그대로 해야만 하는 것이다. 게다가 기존에 돈을 지불하고 구매한 고객들과의 형평성이라는 측면도 생각하지 않을 수 없어 보인다. 그들이 얻을 수 있는 점이라면, 내가 Typinator를 업그레이드할 수 밖에 없었던 상황을 되돌아보면 답이 보인다. Typinator는 타이핑 에러를 자동으로 교정해주는 프로그램으로서 (사실 그보다는 단축키 용도로 더 많이 쓰고 있지만... 예를 들어
lalc라고 입력하면 자동으로
라고 입력되는 따위의 일) Macheist 번들 행사 중에 공짜로 제공된 프로그램이었고, 나는 이 프로그램을 대단히 만족스럽게 사용하고 있었다. 그러다가 이 프로그램이 업그레이드가 되면서 Macheist 제공 라이센스의 경우에는 돈을 지불하는 업그레이드를 해야 한다는 메일이 날아왔고, 고심 끝에 결국 돈을 내고 업그레이드 라이센스를 구입하게 되었다. 이처럼 프로그램을 공짜로 제공하여 그 프로그램을 잘 사용하게, 그래서 필요를 많이 느끼게 해 놓고, 차후에 업그레이드 라이센스를 돈을 받고 판매하는 방식을 생각할 수 있다. 만약 이런 방식으로 라이센스를 구매하는 고객이 0.1%라고 하면, 1000개의 공짜 라이센스를 뿌리면 단 한 개의 유료 판매밖에 기대할 수가 없지만, 500,000개의 공짜 라이센스를 뿌린 경우라면 장기적으로는 500개의 유료 판매를 기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고객 지원이라는 측면에서 봐도, 돈을 모두 지불하고 구매한 고객과 공짜로 라이센스를 얻은 고객의 지원 요구는 분명 차이가 있을 거라고 생각된다. Macheist에서는 번들 프로그램의 다운로드를 모두 자신의 서버에서 따로 제공하고 있는데다가, 프로그램의 고객 지원 기능을 하는 포럼 글타래를 따로 운영하기 때문에, 프로그램 제작사는 최소한 고객 지원과 다운로드 측면에서 자신의 서버가 져야 할 부담이 없다는 면도 무시할 수 없다. 결국, Chris Anderson이 말한 공짜의 경제학이 이런 방식으로 실험되고 있는 것이다. 돈을 주고 프로그램을 구매하는 것이 너무나도 당연하게 느껴지는 사람들에게 있어서 이런 번들 행사는 이해하기 힘든 일이지만, 구글의 각종 온라인 서비스(구글 메일, 문서, 캘린더, 쩝... 너무 많다) 그리고 다운로드 서비스(구글팩에서는 이미 소프트웨어 다운로드도 가능하다)를 공짜로 사용하는 것이 너무나 당연하게 느껴지는 세대들에게는 어쩌면 구글 프로그램보다 그다지 나아보이지도 않는 프로그램을 구매하는데 수십 달러의 돈을 지불하는 것이 이상하게 느껴질 수도 있다. Macheist의 이번 nanoBundle 행사는 이런 변화를 단적으로 잘 보여주는 하나의 예가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Comments